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공부/주식

부의 시나리오- 오건영

by 솔이스토리 2022. 6. 23.


2021년 봄, 가즈아와 파이어를 외치며 투자를 시작했는데
나날이 마이너스를 갱신하고 있는 나의 계좌들...ㅜㅜ


전쟁에 인플레이션도 모자라 이젠 경기침체가 온다는데
순식간에 바뀌어 버린 시장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눈앞이 깜깜하지만
원래 뭐든 이렇게 얻어맞으면서 배우는 거라 했다.. 하핳ㅎㅎ

그동안 관심 없이 지나갔던 지난 금융시장 상황들도 돌아보고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에 대처하기 위한 각국 정부와 은행의 역할도 배워보고
성장과 물가의 변화에 따라 어떤 자산에 투자해야 하는지 시나리오별로 정리해둔

오건영 님의 부의 시나리오

나처럼 초보들에게 매우 추천추천!!

특히 경제상황에 따라 4분면으로 어떤 자산이 유리한지 정리해둔 표가 인상적이었다!
주식이야 재무재표니 차트니 기업가치니 하면서 지난 1년간 익숙해졌지만
채권이나 원자재는 어떨때 오르고 내리는지 전혀 감이 없었는데
오건영님의 설명따라 차근차근 읽다보면 아하?이래서 금이, 채권이 올랐구나?하고 이해가능 ㅎㅎㅎㅎ
이렇게 또 금융IQ 레벨이 한단계 올라갔습니다^^..!

+) 매번 이런 금융 책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학교 다닐 때 이런 거 왜안가르쳐 주죠?...무조건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할듯 이제라도!!!


2020 코로나 팬데믹 = 블랙스완 (예상치 못한 위기)
20.2부터 20.3까지 한 달간 34% 급락
+
부채의 위기 = 회색 코뿔소 (알고 있지만 표면화되지 않은 리스크)
2019 미중 무역전쟁으로 유동성을 공급해 대출을 늘려서 경기 부양하던 미국
중국의 부채 문제 :
금융위기로 미국 소비 위축 > 중국의 수출에 타격 > 부채를 일으켜서 설비투자, 일자리 증가 > 상품공급 과잉

FED의 해결책

1. 양적완화, 장기 국채를 무제한 매입
2. 제로금리 유지 , 회사채 매입 (질적 완화)
3. 통화스와프, 이머징 국가 달러 빚 부담 줄임
-> 기업과 가계의 파산을 막자! 회색 코뿔소 해결~!

주가와 금리의 상관관계

보통은 주가와 금리가 같이 움직이는 양상을 보인다!
경기가 좋다
기업 마진이 좋다 > 주가 상승
소비 증가, 설비투자 증가, 대출수요 증가 > 금리 상승

금리 상승> 이자부담 증가, 소비위축 > 경기 둔화
기업 마진 나쁘다, 투자 위축 > 주가 하락
정부 유동성 공급 > 금리 하락

하지만..!
2008 금융위기 양적완화 > 금리 하락 > 자산시장으로 돈이 몰림 > 주가 상승
2016 트럼프 재정지출 확대, 법인세 인하 > 금리 상승, 주가 상승
2019 미중 무역전쟁 경기둔화, 기업 투자 위축 > 금리 하락, 주가 상승

마이너스 금리의 부작용

중앙은행에서 공급한 유동성이
시중은행에서 대출 등을 통해 실물경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앙은행과 시중은행 사이에서 도입된다

그러나..

은행들은 리스크 관리하느라 대출을 더 안 해주고
양적완화 중인 유럽, 일본의 장기국채만 매입해버림
장단기 금리차가 줄어들면서 은행의 수익성은 더욱 악화됨


정부의 재정정책과 부작용

정부에서 국채 발행을 통해 재정지출을 늘림
국채를 발행하면서 시중의 돈을 흡수해버려서 금리가 오히려 올라가버린다 ; 구축효과
이때 정부의 국채를 중앙은행이 매입하면서
다시 시중에 통화를 공급하여 금리가 오르는 것을 막는다 ; 정부와 중앙은행의 정책공조

통화 정책(중앙은행)만으로는 특정 경제주체에게 돈을 줄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진짜 필요한 곳에 돈이 흐르도록 하기가 어려움
재정정책(정부)은 특정 주체에 돈을 줄 수는 있지만
자금조달 과정에서 금리 상승, 민간투자 억제(구축효과)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금리인하 시 장점과 단점

장점)
채권 가격 상승
월세 받는 수익형 부동산의 가치 상승

단점)
세입자의 경우 주거비 상승(전세 공급 하락)
좀비기업의 과잉생산으로 인해 건강한 기업의 마진 하락
가계대출 증가(부채의 총량이 증가)
이머징 국가의 자본유출(외환위기 초래)

*실효 하한
기준금리를 낮춤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가 사라지는 최저 레벨

한국은행은 양적완화를 할 수 없는 이유

원화는 한국에서만 사용 가능한 로컬 통화..!
양적완화를 통해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면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되고
해외에서 수입 물가 급등, 달러빚 부담 증가, 해외투자자 이탈로 자산 가격 하락& 환율 추가 급등
>>기축 통과국이 아닌 경우 양적완화 시 자본유출의 위험이 커진다

*중국 위완화의 국제화
세계 패권국으로 가기 위한 관문, 중국 금융시장 발전을 통해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진 중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 : 물가상승 = 화폐가치 하락, 부채 부담 하락
디플레이션 : 물가 하락 = 화폐가치 상승, 부채 부담 상승

건강하고 완만한 인플레이션 유지가 목표 > 소비확대& 부채 부담 축소

소비↑ 투자↑ 고용↑ 소득↑ 소비↑ 물가↑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good)

자본유출, 환율 급등, 통화가치 하락 - 수입물가 상승 인플레이션(bad)
석유파동, 석유 가격 상승, 물가 상승 -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bad)

기술혁신으로 인한 디플레이션 (good)
ex) 신형 노트북 출시로 인해 기존 노트북 가격 하락

빚↑ 소비위축, 수요 하락 고용 하락, 소비위축 > 디플레이션(bad)
ex) 일본 장기 경기침체


중국 성장으로 인해 원자재값 급등, 경기과열,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우려
-------------- 2008 금융위기 --------------
거대한 부채의 위기, 디플레이션 우려

디플레이션 유발 요인

1. 아마존- 최저가 경쟁
2. 저유가 (중국 성장 둔화로 수요 감소, 미국 셰일 기업 성장 OPEC+ 공급 증가)
3. 좀비기업들로 제품단가 하락
4. 소비시장 위축, 빈부격차 확대 (유동성이 자산시장으로만 흘러들어 감)
5. 환율전쟁, 수출경쟁으로 제품단가 하락
6. 과도한 부채, 저금리 상황에 부채 상환해버림 경기 활성화 x

고압 경제

디플레이션 해결책으로 등장
유동성 공급으로 실물경제를 과열시켜 경기침체를 극복하자!
하지만 금융시장의 희생이 필요하다

고성장, 고물가 저성장, 고물가
2005-2008 중국 성장
성장 >주식 good
투자증가, 금리 상승 > 채권 bad
원자재수요 증가 > 원자재, 금 good
1970년 석유파동
원가상승으로 기업마진 감소 > 주식 bad
물가 상승, 금리상승 > 채권 bad
물가 상승 > 원자재, 금 good
고성장, 저물가 저성장, 저물가
2017년 금융위기 이후 경기회복
신흥국가 성장 > 주가 good
채권 soso
원자재, 금 bad
저성장 > 주식 bad ------> 고압경제(양적완화) 성장주 good
경기부양, 금리하락 > 채권good
원자재, 금 bad -----> 양적완화로 화폐가치 하락, 금 good

댓글